건강한 치아는 오복 중 하나라고 할 만큼 치아가 건강해야 먹는 기쁨을 마음껏 누릴 수 있는데요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이가 시린 증상으로 불편함을 겪고 있습니다.
'시린이'는 치아의 지가과민증으로 어떤 질병이라기 보다는 외부자극에 대한 일시적인 통증이 나타나는 현상으로 성인 대부분이 흔히 겪는 증상입니다.
오늘은 이가 시린 이유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치아는 가장 딱딱한 부위인 법랑질(에나멜질)과 그 안에 부드러운 상아질의 두 부분으로 되어 있는데, 상아질에는 치아 가장 안쪽의 신경까지 관통한 상아세관이라는 미세한 구멍이 있습니다.
충치, 마모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상아세관이 노출되면 작은 외부 자극에도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여 통증 및 이가 시린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충치로 인한 이가 시린 경우
충치로 인해 이가 시리다면 충치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먼저 충치 부위를 제거하고 다른 재료로 그 부위를 채워 넣는 수복 치료를 하면 대부분 증상이 개선됩니다.
그러나 충치가 과도하게 깊은 경우에는 수복 치료를 해 주어도 시린 증상이 개선되지 않을 수 있고 오히려 더 심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신경치료를 해주어야 이가 시린 증상이 거의 100% 사라집니다.
치경부 마모증으로 이가 시린 경우
치경부라 하면 치아으 머리 부분을 감싸고 있는 법랑질이 끝나는 부분으로 치경부 마모증은 그 부위가 닳아진것을 말합니다.
치경부 마모증의 경우에는 잘 보이는부위이기 때문에 시린 증상을 알아내기도 쉽고 치료하기도 어렵지 않습니다.
치경부의 닳아진 부분을 컴포짓 레진이나 글래스아이오노머 들을 이용해서 잘 막아주면 매우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치경부 마모증은 대부분 잘못된 양치 습관으로 인해 생기기 때문에 올바른 칫솔질을 통해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치아의 파절로 인한 이가 시린 경우
치아 파절로 인해 이가 시린 경우에는 파절된 부위를 수복해 주며 되는데, 수복 후에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신경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치아에 금이 가 이가 시린 경우
치아에 금이 간 경우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아 찾아내기 어렵고 신경치료가 필요합니다.
치주염으로 인한 이가 시린 경우
치아의 뿌리 부분에는 법랑질이라는 보호 조직이 없습니다.
이로 인해 치아의 뿌리가 노출될 경우 차가운 자극에 매우 예민하게 반응할 수가 있습니다.
이상으로 시린이의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시린이의 원인은 많은 이유가 있기 때문에 치료를 위해서는 정확한 진단이 필수적입니다.
'헬스 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몸이 보내는 이상신호에 대해 알아보아요 (0) | 2018.03.15 |
---|---|
스케일링 비용과 치석제거 건강보험 적용 대상 (0) | 2018.02.28 |
감자 효능 7가지 알아보아요 (0) | 2017.09.19 |
중금속 배출에 좋은 음식 (0) | 2017.09.16 |
기면증 증상,과 자가진단법, 기면증에 좋은 음식 (0) | 2017.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