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기관지염의 증상과 전염성 세기관지염의 증상과 전염성 과거에는 모세기관지염이라 불렸던 급성 세기관지염은 폐렴 일종으로 기도와 허파꽈리(폐포)로 이어지는 가느다란 기관지 가지에 바이러스성 염증이 생겨 산소교환이 잘 안 되는 호흡기 질환입니다. 세기관지염에 걸리면 세기관지뿐 아니라 허파꽈리에도 염증이 생깁니다. 주로 2세 이하의 나이에 발생하며 1세 전후에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고, 늦가을부터 초봄에 걸쳐 유행하며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바이러스와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아데노 바이러스 등이 세기관지염의 주 원인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세기관지염의 전염성 세기관지염은 전염성이 매우 강하며 잠복기가 2~3일로 짧고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서 집단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RSV와 같은 호흡기 감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들은 호흡기의 분.. 더보기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