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헬스 e

'가슴통증' 협심증 초기증상과 예방법

반응형

'가슴통증' 협심증 초기증상과 예방법

협심증이란?

협심증은 관상동맥이 플라크라는 끈적끈적한 물질 때문에 좁아지거나 막혀서 심장근육에 혈액공급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때 발생하는 증상입니다.

 

 

협심증의 초기증상

- 묵직하고 조이는 불편한 압박감이 가슴 한가운데 또는 왼쪽 어깨나 왼쪽 팔의 안쪽으로 퍼지듯 진행됩니다.

  드물게 오른쪽 어깨, 팔, 목, 얼굴로 진행되거나 등과 상복부 쪽에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반드시 아픈 통증만 있는 것은 아니며, 가슴이 답답하고, 죄는 것 같은 느낌이 보통 증상입니다.

- 때때로 왼쪽 눈이 시리거나 턱이나 파르 어깨, 이 등으로 통증이 퍼지기도 합니다.

- 통증(협심증 발작)은 보통 짧게는 1~2분, 길게는 15분 이내로 지속됩니다.

- 천천히 걷고 있다가 갑자기 뛰는 겨우, 격한 운동을 하는 경우, 흥분을 하는 경우, 계단을 오를 경우, 무거운 것을 들 경우, 추운 날씨에 노출되었을 경우, 높은 온도의 공간에 있을 경우, 등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무리하여 심장에 부담을 주는 경우에 협심증 증상이 종종 나타날 수 있으나, 큰일을 치르고 긴장이 풀리고 휴식중일 때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통증은 주로 무리한 육체운동 후 나타나고 안정을 취하면 가라앉는 것이 특징이나, 이형성 협심증인 경우 밤이나 새벽에 증상이 주기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협심증의 종류와 증상

- 가슴 한가운데가 쥐어짜듯이 아프고 왼쪽 어깨 부위로 통증이 퍼진다.
- 처음에는 심한 운동을 할 때만 가슴이 아프다가 점차 가벼운 운동을 할 때도 가슴이 아프다.(안정형 협심증)

- 안정형 협심증이 심해지면 쉬고 있는 상태에서도 가슴이 아프고 통증의 횟수와 정도가 증가하게 된다.(불안정형 협심증)
- 잠잘 때, 특히 새벽에 혈관이 수축하여 통증이 생긴다.(이형 또는 변이형, 혈관연축성 협심증)
- 드물게는 통증이 없는 경우도 있다.(무증상 심근 허혈증) 

 

 

협심증 예방법

- 콜레스테롱이 적은 음식, 채소류와 같은 식물성 식품 많이 먹기

-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은 사람은 의사의 진단 하에 지질강하제 복용하기

- 동맥경화에 도움이 되는 운동을 규칙적으로 실시하기 - 조기, 줄넘기, 수영, 가벼운 등산 등

- 비만인 경우 체중 감량하기

- 혈압이 높거나 당노병이 있다면 혈압과 당 조절하기

- 금연하기

- 과도한 스트레스 피하기 

 

 

가슴을 쥐어짜는 통증이 수분 이상 지속된다면 즉시 가까운 병원을 방문하여야 합니다.

협심증 환자는 무엇보다 신속한 응급처치가 필요하며, 치료가 지연될수록 사망위험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빠른 조치를 통해 초기(약 6시간 내에)에 심장에 혈액 공급을 재개하면 심장근육의 괴사를 막고 합병증의 위험을 낮출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