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아파트 분양시장에서는 베이수를 늘려 가늘고 길게 뽑는게 트렌드입니다.
베이(Bay)는 전면 발코니를 기준으로 내벽(기둥)과 내벽 사이 한 구획을 뜻하는 건축 용어입니다.
발코니와 접한 거실이나 방의 개수 정도로 이해하면 쉽습니다.
4베이는 전면 발코니와 접한 거실과 방 갯수가 4개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럼 4베이 장점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실사용면적이 3베이보다 넓습니다.
직사각형으로 길게 늘어난 구조이기 때문에 서비스면적인 발코니면적이 베이가 늘어난 만큼 넓어집니다.
전용 59㎡도 발코니면적이 30㎡ 안팎에 달합니다.
주방과 드레스룸도 3베이보다 넓습니다.
방과 거실을 남향으로 전면에 배치하면 하루 종일 햇빛에 노출돼 집 전체가 밝아집니다.
특히 거실과 방 3개를 발코니 쪽으로 나란히 배치한 4베이 구조는 창문이 2~3개인 2*3베이보다 채광과 통풍이 우수해 난방비 절감에 효과적입니다.
하지만 무조건 베이 수가 많다고 좋은 건 아니며, 단점도 있습니다.
4베이는 거실과 방이 나란히 일자로 돼 있어 가로 폭이 넓은 대신 세로 폭이 좁습니다.
거실과 방이 가로*세로 비율이 맞지 않은 긴 직사각형을 띄게 되고 거실에서 방으로 이동하기 위한 복도가 불필요하게 생겨나 공간 활용도가 떨어집니다.
베이가 많아질수록 거실과 방이 좁아집니다.
4베이는 방 3개를 전면에 길게 배치해야 하기 때문에 방이 좁을 수밖에 없습니다.
방의 쾌적성, 독립성이 3베이보다 떨어집니다.
안방의 경우 세로 폭이 3베이보다 좁아 12자 이상 장롱을 넣을 수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거실도 3베이에 비해 좁습니다. 4베이가 주방 중심이라면 3베이는 거실 중심입니다.
타워형일 경우 통풍이 잘되지 않아 여름에 덥고 관리비가 더 많이 나올 수 있습니다.
또 3베이보다 외부에 노출되는 공간이 많아 겨울 난방비가 더 많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건설사들이 단순히 베이가 많으면 좋은 것처럼 홍보하지만 소비자는 아파트 선택시 적절한 평면구조를 이루고 있는지 살펴보고 가족수나 생활 패턴에 따라 적정한 베이 수를 찾는 게 좋습니다.
'경제 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용면적, 서비스면적, 공용면적, 공급면적의 차이 (0) | 2017.03.16 |
---|---|
태아보험 가입하는 방법과 알아야 할 사항 (0) | 2017.01.31 |
내집마련 디딤돌 대출 자격대상과 신청방법 (0) | 2016.12.03 |
부부간의 금슬 부부 공동명의 장단점 (0) | 2016.10.27 |
마이너스통장 발급대상 및 필요서류 (0) | 2016.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