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e

자동차 밧데리 방전시 충전법

반응형

 

 

자동차를 운행하다 보면 배터리가 방전될 경우가 있습니다.

자동차 KeyOn으로 돌렸는데도 자동차의 전기 장치가 전혀 작동이 되지 않거나 계기판의 경고등이 희미하게 점등되거나, 키를 돌렸을 때 '딱 딱 딱' 하는 소리만 나게 된다면 거의 대부분 자동차 배터리 방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 배터리 방전으로 인해 스타트모터를 작동시킬 힘이 없기 때문에 나는 소리입니다.

이는 자동차 배터리가 교환 시점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교환하지 않거나 장기간 차량을 방치하였을 경우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자동차 밧데리 방전시 충전법

 

1. 전원을 공급해주는 자동차를 방전된 자동차 가까이에 주차 후 두 차량의 본넷을 모두 열어주세요.

 

2. 두 차량의 밧데리 전압이 맞는지 확인하세요.

   이는 배터리의 용량의 차이인데 승용차는 승용차끼리, 화물차는 화물차끼리 점프선 연결을 하시는게 좋습니다.

   화물에서 승용으로 배터리 연결을 하면 시동이 걸리지만 승용에서 화물용으로 연결을 하면 자동차 시동이 걸리지

   않는다는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꼭 전압이 맞아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전압이 맞는 경우에 전원공급이 안정적이고

   전기장치에 이상이 발생하는것을 예방 할 수 있습니다.

 

 

3. 방전된 차량 밧데리의 (+)극 캡을 열어 붉은색 (+)점프선 집게를 연결합니다.

    반대쪽 집게는 전원을 공급해주는 차량의 (+)극에 똑같이 연결합니다.

 

 

4. 전원을 공급해주는 차량의 (-)극에 검정색 (-)용 점프선 집게를 연결합니다.

    반대편 집게를 방전된 차량의 엔진블록이나 차체 등 금속부분에 연결시킵니다.

 

5.  전원을 공급해주는 차량의 시동을 켜줍니다.

    기어를 중립에 위치 시킨 후 RPM2,000~3,000까지 공회전 시켜줍니다.

 

6. 연결하는 동안에는 양쪽 차의 불필요한 액세서리 전원을 모두 끄고 전원을 공급해주는 차의 엔진회전수를 높인 상태에서

    방전된 차량의 시동을 걸어 봅니다. 디젤차량의 경우 돼지꼬리 모양이 사라질때까지 기다린 후 시동을 겁니다.

    시동이 걸릴 경우 5~10분 정도 밧데리가 충전 되도록 기다립니다.

    이 때 도움을 주는 차량의 RPM은 아이들링 상태를 유지해주세요.

   

 

7. 두 차량의 시동을 모두 끄고 밧데리의 (-)극 점프선부터 역순으로 제거해주세요.

 

* 주의사항 : (+)극용 점프선 집게와 (-)용 점프선 집게가 절대 접촉되지 않게 하세요.

 

반응형

'자동차 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잔기스 제거방법  (0) 2014.04.07
무료 긴급견인 서비스  (0) 2014.03.03
주차위반 스티커 제거방법  (0) 2013.12.31
밧데리 교환 방법  (0) 2013.12.20
겨울철 자동차 관리 10계명  (0) 2013.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