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헬스 e

당뇨병 환자에 좋은 운동과 운동방법

반응형

당뇨병 환자에 좋은 운동과 운동방법

잘못된 식습관과 운동부족, 스트레스로 인해 당뇨병 환자의 수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당뇨병은 평생 잘 관리해야만 건강을 유지하고 다른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가장 좋은 방법은 바로 운동입니다.

 

당뇨병 환자는 유산소 운동을 통해 당을 소모해 혈당을 떨어뜨리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혈당이 급속도로 상승하는 식사 후에는 30분에서 1시간정도의 휴식을 가진 후 1~3시간 사이에 산책 및 가벼운 운동으로 몸을 움직여 주는 것이 혈당 조절에 도움이 됩니다.  

 

 

운동 전후와 운동 중 혈당을 측정해 혈당의 변화를 파악하여 인슐린 작용이 최고가 되는 시간에는 운동을 피해야 합니다.

운동을 심하게 하거나 1시간 이상 할 때는 운동 중간에 사탕이나 초콜릿 등 간식을 적당히 섭취해야 합니다.

 

 

당뇨병 환자는 매일 규칙적으로 할 수 있는 가벼운 전신운동이 좋습니다.

걷기, 속보, 수영, 자전거 타기 등과 같은 유산소 운동이 도움이 됩니다. 

근육량이 증가하면 기초대사량을 높여 칼로리를 더 소모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근력강화 운동을 함께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운동은 최대 심박수의 50~70%가 효과적이며 연령이 낮을수록 강도는 높게 유지하고, 연령이 높으면 강도를 이보다 낮게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유산소 운동은 적어도 20~40분 가량하고, 근력강화운동은 20분 정도면 충분합니다.

 

 

합병증이 없는 당뇨병 환자의 운동 빈도는 1주일에 150분의 중강도 유산소 운동이나 1주일에 90분 이상의 고강도 유산소 운동을 하고 연속해서 2일 운동을 쉬지 않도록 합니다 또한 근력운동은 주 3회 실시하는게 좋습니다. 

 

 

합병증이 있는 당뇨병 환자는 반드시 의사와 상의 후 운동을 실시하여야 합니다.

심장질환을 앓고 있다면 고강도 운동을 피하고 상체가 아닌 하체를 이용한 운동이 좋으며, 콩팥 질환을 앓고 있어도 저강도 운동을 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