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레시피 - 김밥
<출처 : 생생정보통 2014.04.17 방영>
밥도 맛있지만 밥보다도 많은 채소가 들어 있어 맛이 좋은 김밥!!!
일반적인 김밥과 비교해 보면 채소의 굵기와 양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입니다.
탄수화물인 밥 양을 줄이고 야채 양을 늘려 건강식으로도 손색없는 맛있는 김밥 만드는 비법을 소개합니다.
7가지 김밥재료 준비하기
1. 오이손질 - 오이를 돌려 깎는다?
오이 가운데 씨 부분이 수분이 많아서 물이 많이 생기기 때문에 돌려깍기를 해서 사용합니다.
2. 당근손질 - 끓는 물에 당근을 넣는다?
당근을 채를 썰어 준비한 후 끓는 물에 데쳐 주세요
당근을 흔히 볶는데 볶는것보다 살짝 데치는 것이 식감도 좋고 맛도 더 좋습니다.
볶은 당근으로 만든 김밥 VS 데친 당근으로 만든 김밥
그 승자는?
손님 : 볶은 당근으로 만든 김밥은 약간 기름에 볶은 느낌이 나서 데친 당근으로 만든 김밥이 더 맛있다.
손님 : 데친 당근으로 만든 김밥은 약간 샐러드 같아요 아삭아삭하고 그런게 좀 있는것 같다.
볶은 당근으로 만든 김밥 승!!
조리 방법에 따라 맛의 차이가 나는 이유는?
당근을 볶아서 김밥을 만들게 되면 김밥이 식은 다음에 기름이 흘러나옵니다.
당근을 데쳐서 김밥을 만들게 되면 당근의 식감도 좋아지고, 밥에 들어 갔을 때 전체적으로 맛을 가볍고 산뜻하게 만들어줍니다.
채썬 당근을 끓는 물에서 30초간 데친 후 체에 걸러 뜨거운 물을 버리고 찬물에 헹궈주세요.
물기를 확실히 제거한 당근에 소금을 약간 넣고 잘 버무려 주세요.
3. 달걀지단 만들기 - 김밥 재료 중 가장 어렵다는 달걀지단은 어떻게 만드나?
김밥 재료 중 가장 어렵다는 달걀지단, 특히나 도톰한 달걀지단은 만들기 쉽지 않습니다.
도톰한 달걀지단 만드는 법
1. 기름을 두른 사각팬에 달걀물을 약간 붓고 반으로 접는다.
2. 그 옆으로 또 달걀물을 부어준 후 익으면 반으로 접은 곳 위로 올린다.
3. 또 한번 남은 달걀물을 붓고 살짝 익으면 다시 반으로 접어서 마저 익혀주면 된다.
4. 3번에 걸쳐 층층이 쌓여 도톰해진 달걀지단을 10조각이 나오도록 길게 잘라준다.
1차, 2차, 3차로 나눠서 약간 도톰하게 만들어줘야지 김밥을 쌌을 때 식감도 좋고 맛도 좋습니다.
4. 우엉만들기 - 우엉은 어떻게 조리할까?
껍질을 벗겨 물에 불려둔 우엉 20개에 설탕 2큰 술, 간장 3큰 술, 맛 술 3큰 술, 물엿 3큰 술을 넣어주세요.
우엉조리에 물을 넣는다?
우엉을 조리할 때 물을 넣지 않으면 우엉이 약간 딱딱해 질 수 있는데 물을 쌀짝 넣으면 간도 잘 맞고 식감도 더 좋아져 김밥을 쌀때 더 좋습니다.
양념을 모두 넣은 후 강한 불에서 양념장이 완전히 사라질 때까지 약 5분정도 조려주세요
5. 어묵 만들기
어묵 5장을 먹기 좋은 크기로 채를 썰어 기름 1큰술로 볶다가 우엉과 똑같은 양념으로 1분간 볶습니다.
우엉과 어묵의 다른 점은?
우엉과 어묵을 같은 양념을 사용 하지만 조리하는 방법이 다릅니다.
우엉은 양념해서 조리하는 방식이고 어묵은 살짝 볶아내는 방식입니다.
밥짓기
1. 밥 씻기 - 쌀의 양은?
깁밥 5줄 분량 방을 짓기 위한 쌀의 양은 계량컵으로 1컵이고 200cc 맥주컵 기준으로 1컵 반입니다.
깁밥 10줄용 밥을 만들기 위해서는 계량컵 2컵, 맥주컵 3컵 분량의 쌀을 넣고 잘 씻어주세요
밥하는데 물이 없다?
밥하는데 물양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쌀을 씻은 후 물을 한번 싹 뺀 다음에 물을 다시 정확히 계량해서 넣습니다.
물의 양은?
물은 쌀 양과 동일하게 계량컵으로 두컵 정도를 넣습니다. 계량컵 1컵은 맥주컵 1컵 반이므로 맥주컵으로 3컵을 넣으시면 됩니다. 쌀과 똑같이 김밥 5줄 분량은 맥주컵 1컵 반, 김밥 10분량은 맥주컵 3컵을 넣어주면 됩니다. 물은 쌀과 1:1비율로 동일한 양을 넣어주면 됩니다.더 많은 양의 밥을 하게 되어도 쌀과 물의 1:1비율과 지켜주시면 됩니다.
2. 밥 짓기
김밥 10줄 분량 기준으로 쌀과 물을(1:1) 맥주컵으로 3컵씩 넣고 30분간 밥을 지어줍니다.
밥에 들어가는 재료의 비율은?
고슬고슬하게 완성 된 밥을 열기가 식기전 밥을 펴서 바로 간을 해주세요.
간을 할 때 소금과 참기름의 비율은 1:3정도로 소금 1큰술, 참기름 3큰 술을 넣어 주세요
소금과 참기름으로 간을 하고 잘 버무려 주세요
TIP:밥이 따뜻한 상태에서 양념을 해야 골고루 간이 밴다.
김밥 한 줄 싸는데 밥은 얼마만큼 넣나?
김밥 한 줄 쌀 때 사용하는 밥은 무게로는 142g정도, 공깃밥 반공기정도 생각하시면 됩니다.
김밥 말기
김밥 잘 마는 비법 - 밥이 식기전에 말기!
김밥을 잘 말기 위해서는 밥이 식기전에 재빨리 말아주세요. 김밥 한개 마는데 걸리는 시간은 2분 40초 정도 입니다.
김밥 잘 마는 비법 2 - 밥 위에 김을 또 올린다?
김 반장을 더 깔면 재료랑 밥이 불리돼서 입 안에서 넣었을 때 밥은 밥대로, 재료는 재료대로 식감이 더 좋아집니다.
한 장 반의 김을 쓴 김밥 VS 한 장으로 만든 김밥
손님 : 한 장 반의 김을 쓴 김밥이 간이 더 센것처럼 느껴져요
한 장 반의 김을 쓴 김밥 승!!
반 장을 더 올린 김이 맛에 어떤 역할을 할까?
김 반 장을 깔아주면 재료와 밥이 직접적으로 닿지 않게 되는 막을 형성해 줍니다.
그래서 밥은 밥대로 고슬고슬하게 남아 있고요, 재료는 또 재료의 수분을 그대로 머금고 있어서 각가 재료의 식감을 살려주는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김이 한 번 재료를 감싸 주기 때문에 모양도 흐트러지지 않아서 예쁜 김밥을 만들 수 있습니다.
김밥 잘마는 빕법 3 - 김밥을 두 손으로 감싸고 가장 안쪽부터 누르며 김밥을 만다?
재료를 한 번에 말아 살짝 눌러준 뒤 김밥을 두손으로 감싸고 가장 안쪽부터 조금씩 누르며 김밥을 마세요. 여기서 포인트는 욕심 부리지 않고 조금씩 만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꼭꼭 눌러 말아주면 김밥을 썰 때에도 재료가 빠져 나오거나 김이 풀리지 않고 예쁜 김밥을 말 수 있습니다..
초간단 레시피
7가지 김밥 재료 준비하기
오이 2개를 준비해서 씨부분을 제거하고
가늘게 체를 썰어 주세요
당근도 2개를 채를 썬 후 끓는 물에 30초 가량 데쳐주는데요.
체에 받쳐 걸러 낸 당근을 찬물에 씻어준다.
체에서 물기를 최대한 제거해 줘야 김밥에 물기가 쓰며들지 않습니다.
소금 5/1큰술과 함께 버무려 주세요
껍질을 벗기고 물에 불려 길게 썬 우엉 20개에
설탕 2큰술, 간장 3큰술, 맛술,3큰술, 물엿 3큰술, 물반컵을 넣어줍니다.
강한 불에서 5분간 우엉을 조리면 되는데요,
양념장이 거의 없어질때까지 조리면 됩니다.
납작한 어묵 5장을 채썰고 강한 불에 기름 1큰술과 함께 볶습니다.
숨이 죽으면 설탕 1큰술, 간장 2큰술, 맛술 1큰술,
물엿 1큰술, 물 반컵을 넣고 1분간 볶습니다.
오래 볶으면 어묵의 식감이 사라져서 물러질 수 있거든요
강한 불에 재빨리 볶아내는 게 포인트
달걀 4개에 소금 1/5큰술, 물 2큰술을 넣고 잘 섞어줍니다.
약한 불 위에 기름을 두른 사각팬에 달걀물 1/3을 붓고 잘 펴주세요
살짝 익으면 반으로 접고 남은 달걀물 반을 붓습니다.
또 다시 익으면 반대 방향으로 접어주고요
남은 달걀물 마저 붓고 다시 반으로 접어 주세요
언제 접어주냐고요?
달걀이 익으면 부풀어 오르니 그 때 다시 반으로 접어 주면 됩니다.
다 익은 달걀 지단을 10줄이 나오도록 잘 잘라 줍니다.
맥주컵 3개 분량의 쌀과 물을 전기밥솥에 넣고
30분간 밥을 지어 줍니다. 전기밥솥 기준에 비율이니 유의해 주세요
취사가 끝난 밥은 바로 퍼내서 밥이 따뜻할 때 양념해 줍니다.
소금 1큰술과 참기름 3큰술을 넣어서 잘 섞어 주세요.
소금과 참기름 1 : 3비율 잊지 마세요.
깁밥 한 줄 분량의 밥은 밥 반공기
김밥용 김에 반공기 분량에 밥을
김 끝부분 3cm가량을 남기고 최대한 얇게 펴 줍니다.
다시 김 반장을 밥 위에 깔고
오이 한줌, 당근 한 줌, 우엉 반 줌, 어묵 반 줌, 햄 2개,
달걀지단 1개, 단무지 1개를 올려줍니다.
두 손으로 재료를 감싼 후 안쪽부터 가볍게 눌러서 감싸듯이 말고
마지막으로 참기름을 바르고 김밥 1줄을
10조각이 나오게 썰어주시면 고소하고 맛있는 김밥 완성
'요리 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우면 더 맛있어지는 음식 (0) | 2016.08.03 |
---|---|
황금레시피- 떡볶이 (0) | 2014.06.04 |
황금레시피- 가장 쉽지만 가장 어렵다는 맛있는 김치 볶음밥 만들기 (0) | 2014.05.29 |
황금레시피 - 짜지 않고 맛깔난 간장게장 만들기 (0) | 2014.05.26 |
황금레시피 - 부대찌개 끓이기 (0) | 2014.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