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헬스 e

손톱으로 내 건상상태 체크하기

반응형
  

 

 

1. 손톱에 핏기가 없을 경우

 

핏기가 없고 창백한 손톱을 가졌다면 다양한 질환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경우는 빈혈, 울혈성 심부전, 간질환, 영양실조가 있을 수 있으며 하얀색을 띄고 끝에 검은 테두리가 있다면 간염 등의 간 질환, 푸른색은 산소 공급이 원활치 못하거나 폐렴과 같은 폐에 감염이 있는 것을 알리는 증상일 수 있다.

 

2. 손톱점상의 홈이 파졌을 경우

 

손톱에 점상의 홈이 작게 파인 것으로, 이것은 건선, 원형탈모증의 전형적인 증상이며, 건선에서는 더 깊은 홈이 파진다. 철분 부족으로 인한 빈혈일 수 있으며, 피곤함이 더할 때 증상이 더 잘 나타나기도 한다. 기질에 부신 피질호르몬제를 주사함으로써 교정이 가능하다.

 

3. 손톱위의 흰 반점이 생겼을 경우

 

손톱 공장인 기질에서 덜 성숙된 손톱을 만들어 손톱 중간 부위에서 빛이 반사되면 손톱과 손톱바닥 사이가 분리되거나, 바닥에 혈관 변화로 하얗게 보일 수 있어 생기는 증상이다.

 

4. 두꺼워지거나 얇아진 손톱의 경우

 

정상 손톱의 두께는 평균 0.5MM이며, 이 이상으로 두껍거나 얇으면 건강 이상 신호는 아닌지 체크해봐야 한다. 두꺼워진 손톱은 외상이나 염증에 의한 기질 세포의 증식으로 손톱이 많이 만들어져 생길 수 있으며 곰팡이, 건선 등에 의해 두꺼워진다. 반대로 손톱이 얇아지고 끝이 휘어지는 것은 현재 영양 상태가 좋지 않음을 의미한다.

 

5. 손톱이 갈라지는 경우

 

건조하고 잘 갈라지는 손톱은 갑상선 질환과 관련이 있다. 평소에 비누, 세제, 메니큐어, 아세톤 등 피부를 건조하게 만드는 요인을 멀리하고, 보습제를 충분히 발라주는 것이 예방에 좋다.

 

6. 물결무늬 손톱의 경우

 

손톱이 쭈글쭈글하게 물결무늬가 생기면서 자란다면, 골다공증이나 염증성 관절염 등 관절염 초기일 가능성이 있다. 이 때는 손톱 아래 안쪽부분이 적갈색을 띄고 있다.

 

7. 조갑 주위에 염증이 생길 경우

 

홍반, 부종이 있고 건드리면 통증이 온다. 물일을 많이 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에게 주로 생기므로 물일을 가급적 줄이고 피하는 것이 최상의 치료법이다. 그러나 물일을 피할 수 없는 경우, 일단 속에 면장갑을 낀 후 고무장갑을 겉에 끼어 자극을 피해 주어야 한다. 소독을 잘 해주고, 자주 보습제를 발라주어 각피에 수분을 보충하여 건조를 방지해 주는 것도 필수다.

 

8. 조갑이 떨어져 나갔을 경우

 

손톱 끝쪽이 손톱 바닥과 분리되어 떨어진 부위가 대부분 허옇게 보이는 조갑박리증(onycholysis). 물일을 많이 하는 요리사나 주부 등의 경우, 손톱 바닥에 습기가 많아져 손톱이 분리되기도 한다. 치료는 원인을 제거하며, 물일할 때 조심하고, 분리된 손톱을 잘라낸 후, 손톱 바닥을 긁어내어 공기가 잘 통하게 만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