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주 맛있게 마시는법
맥주 맛의 결정은 온도
가장 맛있는 맥주 온도는 여름에는 6~8℃ 겨울에는 8~10℃ 입니다. 온도가 높으면 거품만 나오는 김빠진 맥주가 되고, 반대로 혀가 마비될 정도의 차가운 온도는 오히려 맥주 맛이 싱거워집니다. 맥주를 시원하게 마시려면 마시기 3~4시간 전에 4~10℃의 냉장실에 넣어두는 것이 좋으며 급하게 시원한 맥주가 필요할 때는 커다란 통에 물과 얼음을 채우고 맥주를 담가 냉각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거품을 사수하라
‘맥주의 꽃’이라 불리는 거품은 맥주로부터 달아나는 탄산가스를 막아주고 공기와 접촉을 차단하여 산화를 억제하는 뚜껑과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거품을 미리 마시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또한 홀짝홀짝 아껴 마시기보다 과감히 목으로 넘겨야 시원하고 짜릿한 맛을 볼 수 있습니다.
거품이 부풀어 있는 컵의 거품을 헤치고 쭉 들이켠 후 빈 컵에 거품만 남게 하는 것이 맛있는 맥주를 먹는 방법입니다. 또한 이미 따른 맥주에는 탄산가스가 빠져있어 여기에 맥주를 더 따르면 신선한 맛이 약해지기 때문에 새로운 맥주를 따라 마시지 말고 최후의 한 방울까지 다 마신 후 따라야 합니다.
깨끗하고 차가운 글라스에
맥주를 마실 때는 차갑고 깨끗한 글라스에 따라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글라스에 기름기 등이 끼어 있으면 표면장력을 감소시켜 거품이 잘 생기지 않습니다.
또한 글라스를 냉장고에 넣어두면 꺼낼 때 서리가 생기는데 이것을 프로스트 글라스라고 하며 여기에 맥주를 따라 마시면 맛뿐만 아니라 눈도 시원하게 해준답니다.
유리로 된 맥주잔은 수돗물로 헹구어 기름기 없는 곳에 엎어놓아 자연스럽게 물기가 마르도록 하는 것이 헝겊으로 닦는 것보다 좋습니다.
어떤 안주가 좋은가?
맥주는 단맛이 나는 안주보다는 약간 짭짤한 맛이 나는 안주나 신선한 과일, 채소와 먹는게 좋습니다. 두부찜이나 생선전 같은 우리 음식도 괜찮은 맥주안주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맛있는 맥주 따르는 방법
깨끗한 잔에 거품이 2~3cm 정도 두께가 되는 것이 이상적. 맥주잔을 비스듬히 기울인 다음 일단 잔의 반까지 따른 다음 4~5초간 멈추었다가 다시 꽉 차도록 따른다.
맥주 보관방법
1. 맥주가 얼지 않도록 한다.
맥주가 어는 온도는 -2.5℃ ~ 1.8℃이다. 맥주가 얼게 되면 맥주 성분 중 단백질이 응고되어 혼탁이 일어나기 쉬우므로 특히 겨울철에 보관하는 경우에는 주의해야합니다.
맥주가 동결되면서 일어나는 혼탁현상은 맥주를 정상적인 온도로 높여주면 없어지기도 하지만 맥주의 제 맛을 잃을 우려가 있습니다. 겨울에는 5℃ ~ 10℃정도의 보온이 유지되도록 해야 합니다.
2. 적정 온도로 보관한다.
냉장고에 맥주를 보관할 때는 4℃ ~ 10℃정도의 온도에 보관하되 찬 공기를 골고루 받을 수 있도록 항상 아래 칸에 넣어두는 것이 좋습니다.
3. 직사광선을 피한다.
맥주는 직접 열을 받거나 직사광선을 장시간 받으면 맥주의 향을 내는 물질이 산화되어 맛과 향도 크게 나빠지게 됩니다. 그늘지고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4. 갑작스러운 충격을 피한다.
맥주에 갑작스러운 충격을 가하면 병이 깨질 염려가 있을뿐더러 맥주가 쉽게 혼탁해지기 쉽습니다.
5. 너무 오랫동안 보관하지 않는다.
맥주를 오랜 기간 보관하면 잘 보관했다 하더라도 맥주 속의 단백질 성분이 자연응고 되어 뿌옇게 혼탁이 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오랫동안 보관된 맥주는 금방 만들어 졌을 때와 같은 상쾌한 목넘김과 신선한 향이 없고 색깔도 진해집니다. 갈색이 되는 것은 맥주 안에 포함되어 있는 멜라노이딘(melanoidine)이라는 색소성분이 공기와 혼합하여 산화를 일으켜 색이 진해지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병맥주의 경우 보관상태가 양호하면 1년까지는 맛있게 마실 수 있습니다
'헬스 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피에도 모낭충이 산다고요? 두피 모낭충 (0) | 2016.07.11 |
---|---|
당뇨에 좋은 당조고추 효능과 섭취방법 (0) | 2016.07.03 |
지끈 찌끈 편두통을 유발하는 식품 (0) | 2014.10.24 |
치아시드의 효능과 복용방법 (0) | 2014.10.23 |
붕어의 효능과 부작용 및 주의사항 (0) | 2014.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