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e

쇠고기해동법, 돼지고기해동법, 닭고기해동법, 양념고기해동법

반응형

냉동보관 음식 해동방법

돼지고기해동법, 쇠고기해동법, 닭고기 해동법


돼지고기해동법, 쇠고기해동법, 닭고기 해동법

돼지고기 냉장보관 기간은 2개월정도, 쇠고기 냉장보관 기간은 6개정 정도, 닭도기 냉장보관 기간은 10개월 정도입니다.

냉동 상태의 돼지고기, 쇠고기, 닭고기는 실온에서 해동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세균이 번식할 위험이 있습니다.

2~4℃의 냉장실에서 포장한 상태로 해동하는 것이 좋습니다.

돼지고기, 쇠고기, 닭고기는 전자렌지에서 해동을 하면 육즙이 빠져 뻣뻣해지기 쉽고 고르게 해동하기 어렵기 때문에 전자렌지 용기에 옮겨 담아 뚜껑을 덮고 해동시간을 짧게 해 상태를 확인해가면서 해동하여야 합니다.


양념고기 해동법


양념고기 해동법

양념고기 냉도보관기간은 1개월 입니다.

냉동한 양념고기는 포장한 상태로 상온에서 10℃정도의 찬물이나 소금물에 담가 해동하거나 2~4℃의 냉장실에서 해동합니다.

양념고기를 전자렌지를 이용하여 해동할 때에는 육류 전용 해동기능이 있는 전자렌지를 이용하여 전자렌지 용기로 옮겨 담은 후 뚜껑을 덮고 해동합니다.

일반 전자렌지로 해동할경우 겉과 속이 고르게 해동되지 않고 양념이 고기에 잘 배지 않을뿐만아니라 고깃결 또한 망가지기 쉽기 때문에 피해야 합니다.


생선 해동법


생선 해동법

등푸른생선 냉동보관기간은 4주이며, 흰살생선 냉장보관기간은 6~8주, 자반류는 12개월 정도 입니다.

생선은 포장한 상태로 2~4℃의 냉장실에서 해동하거나 흐르는 물에 담가 녹이는 방법이 좋습니다.

생선을 상온에서 해동할 경우 큰 온도차로 인해 수분이 빠져나와 맛이 질겨지고 영양을 잃게 됩니다.


조개 해동법 & 새우 해동법


조개 해동법 & 새우 해동법

조내가 새우의 냉동보관기간읜 1개월정도 입니다.

조개는 포장한 상태로 2~4℃의 냉장실에서 해동하거나 포장을 벗기고 10℃정도의 찬물에 담가서 해동해야 육질이 질겨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또 조리 전 바로 사용해도 괜찮습니다.

냉동 새우의 경우 포장한 상태로 냉장실에서 해동하거나 찬물에 담가 해동하고 마지막에 옅은 소금물로 한 번 헤구면 비린내를 없앨 수 있습니다.


찬밥 해동법


찬밥 해동법

밥의 냉동보관기간은 7~10일 입니다.

냉동 밥은 밥을 식혀서 냉동했을 경우와 뜨거운 상태 그대로 냉동했을 경우로 나뉘는데 밥을 식혀 냉동했을 경우에는 실온에서 자연해동한 후 청주를 조금 뿌려 뚜껑을 덮고 전자렌지에 2~3분정도 데우면 됩니다.

뜨거운 상태 그대로 냉동했을 경우에는 냉동상태 그대로 전자렌지 용기에 뚜껑을 덮고 4~5분 정도 데우면 됩니다.

냉동 밥은 냉장실에서 해동하는 경우에는 단백질이 파괴되어 맛을 잃기 때문에 피해야 합니다.


떡 해동법


떡 해동법

떡의 냉동보관기간은 2개월입니다.

떡은 먼저 실온에서 해동한 뒤 다시 찜기에 넣고 찌거나 전자렌지 또는 밥솥에 넣고 데워서 드시면 됩니다.

떡은 찹쌀과 멥쌀에 따라 해동 방법에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찹쌀로 만든 떡은 말랑말랑한 상태에서 냉동했다면 실온에서 해동하고 바로 사용해도 이전의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제외한 멥쌀떡과 일반 떡의 경우 실온에서만 해동하면 다시 말랑해지기 힘들기때문에 찜기나 밥솥을 이용해 쪄서 드시는 게 좋습니다.


데친 나물 해동법


데친 나물 해동법

데친 나물 냉동보관기간은 1개월 입니다.

데쳐서 얼려놓은 나물은 포장을 벗기고 10℃ 정도의 찬물에 담가 나물이 어느 정도 풀리면 조리를 해야 엉킴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데친 채소 해동법


데친 채소 해동법

데친 채소 냉동보관기간은 1개월입니다.

데쳐서 얼려놓은 채소는 전자렌지에 해동하면 수분이 빠져나가 뻣뻣해지고 마르기 쉽습니다.

포장 상태로 10℃ 정도의 찬물에 넣어 해동하거나 조리할 때 바로 넣어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냉동하면 안 되는 음식


냉동하면 안 되는 음식

무, 배추, 애호박, 콩나물, 양파, 양배추, 감자, 당근, 고구마, 양송이버섯, 팽이버섯, 느타리버섯, 통조림, 두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