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미약 복용방법과 멀미약 부작용
멀미의 원인
멀미의 원인은 불규칙한 움직임에 대한 신체반응으로 우리 몸이 불규칙하게 움직일 때 내이와 세반고리관 내 림프액에 비정상적인 몸의 진동이 뇌의 구토 중추에 전해져 일어나는 증상입니다.
멀미는 자동차나 배, 비행기 등을 탈경우에 발생하기 때문에 의약품을 사용하여 멀미 증상을 예방하거나 완화 할 수 있습니다.
멀미약 종류
- 스코폴라민을 함유한 귀밑에 붙이는 패취제
- 메클리진염산염, 디멘히드리네이트, 스코폴라민 성분등을 함유한 복합성분의 정제, 츄어블정, 액제제, 과립제
- 디메히드리네이트 또는 메클리진염산염 단일성분의 정제, 껌
멀미약 복용법
정제물약, 츄어블 정 등은 차, 배, 비행기 승차나 탑승전 30분 ~1시간전에 미리 복요하는 것이 좋습니다.
추가로 복용할 경우 4시간 이상의 간격을 두고 복용하고, 1일 2회로 복용횟수를 제한합니다.
껌은 어지러움, 메스꺼움, 두통 등으로 불쾌감을 느끼기 시작할 때 10~15분 가량 씹는것이 좋습니다.
스코폴라민 패취제는 최소 4시간 전 귀 뒤의 털이 없는 건조한 피부의 표면에 붙여야 하며 한쪽 귀 뒤에 반드시 1매만 붙입니다.
멀미약 부작용
메클리진산염산염, 디멘히드리네이드, 스콜폴라민 등의 복합성분을 함유한 멀미약은 수유부나, 3세미만의 영유아에게는 사용하지 말아야하며, 녹내장 환자, 배뇨장애 환자, 허약자와 고령자는 복용전 의사나 약사와 상의 하여야 합니다.
스코포라민을 함유한 패취제는 7세 이하의 영유아게게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또한 전립선 비대 등 배뇨장애 환자, 임부, 수유부, 서맥환자, 협우각형 녹내장 환자에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패취제를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용량을 초과하여 패취제를 붙일 경우 방향감각을 상실하거나 기억력 손상, 어지럼움 환각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패취를 제거하고 의사 약사 또는 상의하여야 합니다.
'헬스 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성 악성 종양 유방암 초기증상과 예방법 (0) | 2017.02.09 |
---|---|
눈에 좋은 결명자 차의 효능과 부작용 (0) | 2017.02.08 |
약과 음식의 궁합 - 감기약과 함께 먹으면 안되는 음식 (0) | 2017.02.01 |
혈압을 내리는 지압요법 (0) | 2017.01.26 |
높은 혈압 낮게 하는 운동과 운동방법 (0) | 2017.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