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헬스 e

기도폐쇄 시 응급처치 요령

반응형
  

기도폐쇄 시 응급처치 방법  

 

 

1. 원인과 증상 

원인

이물질로는 혈액, 음식물, 구토물 등이 있으며, 혀 또는 후두개가 이완되어 기도가 막히게 됩니다.

 

증상

두 손으로 목부분을 쥐면서 기침을 하려고 합니다. 목부분에서 심한 천명음(‘~하는 소리)이 들릴 수 있습니다. 얼굴이 파랗게(청색증) 변합니다.

 

주의사항 !!

기도가 완전히 폐쇄된 경우에는 3~4분 이내 의식을 잃게 됩니다.

4~6분이 경과하면 뇌세포의 영구적인 손상이 발생하여 생명이 위험에 빠질 수 있으므로 빠른 시간 내에 응급처치를 시행합니다.

 

 

2. 성인 응급처치

환자의 의식이 있는 상태

말을 할 수 있는 경우에는 기침을 유도하며, 지속적으로 기침을 해도 이물질이 배출되지 않을 때에는 즉시 119로 연락합니다. 말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119에 신고한 후 하임리히법을 실시합니다.

 

 

하임리히법 실시요령

환자의 등 뒤에서 양팔로 허리를 감싼다.

구조자는 오른손으로 왼주먹을 감싸 잡고 명치에 땐다.

빠르게 위로(후상방향) 밀쳐 올린다.

이물질이 밖으로 나오거나 환자가 의식을 잃을 때까지 계속한다.

 

환자의 의식이 없는 상태

의식이 없는 완전 기도폐쇄 환자는 심폐소생술을 실시합니다.

 

주의사항 !!

임산부나 비만환자는 상복부가 아닌 흉부를 압박한다.

 

 

3. 유아 응급처치

 

 

하임리히법 실시요령

영아의 머리를 아랫방향으로 향한 후 등을 5회 두드린다.

흉부압박법을 5회 반복한다.

입안의 이물질이 확인되면 제거한다.

흉부압박 후에도 의식이 없으면 심폐소생술을 실시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