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들린 아기 증후군 증상과 예방 방법
흔들린 아기 증후군이란?
부모나 아이를 돌봐주는 사람이 아이를 달래거나 학대의 의도를 숨기기 위한 수단으로 아기를 많이 흔들어 생기는 질병으로 뇌출혈이나 늑골골절 등을 유발하는 것을 말합니다. 또한 목 근육이 약해 고정이 어려운 어린아이가 장시간 차에 태워져 머리가 심하게 흔들려 뇌가 두개골에 부딪혀 주변 혈관이 찢어지면서 뇌출혈과 망막 출련이 생겨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흔들린 아기 증후군으로 진단되면 30%가 사망하고 생존하더라도 60%는 수일 또는 수개월 뒤에 실명하거나 정신박약, 성장장애, 사지마비, 간질 등 영구적인 후유증으로 고통을 받습니다. 2세이하의 영유아 특히 6개월 미만의 영아가 울거나 보챌 때 달랜다고 심하게 흔들면 뇌출혈로 흔들린증후군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흔들린 아기 증후군 증상
- 처음에는 뚜려한 증상 없이 아기가 칭얼거리며 보채고 토하면서 경련, 발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토하거나, 경련, 발작 증상을 감기, 소화불량, 장염으로 오해하고 모르고 지나칠 우려가 있어 주의 깊게 지켜봐야합니다.
- 흔들린 아이 증후군으로 뇌출혈이 생기면 아기의 뇌압이 상승하고 안구 각막에 핏발이 서 충혈되거나 잘 걷던 아이가 비틀거리며 넘어질 수 있습니다.
흔들린 아기 증후군 예방
- 아기의 목을 받쳐주어야 하며 우는 아기를 흔들어 달래지 말아야 합니다.
- 6개월 미만의 유아는 머리 부분이 연약하기 때문에 장시간 차에 태우고 운전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 아기를 차에 태울 때는 운전을 조심하고 자주 차를 세워 휴식을 취해야 합니다.
- 아이를 차에 태울 때는 성인이 아기를 안고 타는 것은 절대 금지해야 합니다.
- 반드시 아기에 맞는 카시트에 태우고 아기의 목과 머리 앞뒤좌우 흔드림을 예방할 수 있는 목 보호 쿠션을 이용하여 머리의 흔들림을 방지해야 합니다.
'임신*육아 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주베이비페어 선착순 이벤트 4가지 (0) | 2016.10.12 |
---|---|
육아맘들 수원경기 아이본베이비페어 방문해요~ (0) | 2016.10.12 |
유아수족구 증상 - 예방*치료법까지 (0) | 2016.08.15 |
아기 땀띠없애는법 - 7가지 방법 (0) | 2016.08.14 |
우리 아이키 초간단 예측방법 (0) | 2014.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