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아 및 소아 심폐소생술
1. 응급 처치의 목적과 필요성
응급처치는 질병이나 손상으로 인해 생명이 위급하고 긴박한 상황에 처해 있는 대상자에게 행해지는 즉각적이고 임시적인 처치를 말하며, 일상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1분, 1초를 다루는 위급한 상황에서 사용하는 하나의 '생명보험' 과 같은 것이라 할 수 있다.
응급처치의 목적은 첫째, 생명을 구하고 유지한다. 둘째, 질병이나 손상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통을 경감한다. 셋째, 대상자를 가치 있는 한 인간으로서 의미 있는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한다
우리들의 일상생활 속에는 예기치 못한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은 항상 존재하고 있으며, 특히 영아나 유아들은 신체조절능력과 판단능력이 미숙하여 보육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긴급 상황이나 사고가 일어날 위험성이 매우 높다.
그러므로 아동을 보호하고 교육하는 부모나 교사는 위급한 건강 문제를 지닌 아동이 전문적인 치료를 받을 때까지 생명이나 질병, 손상 등이 더 악화되지 않도록 하는 응급처치 방법을 잘 알아두어야 한다.
(1) 1세 미만의 영아 심폐소생술(의식이 없는 경우)
① 의식 확인
- 영아의 발바닥 등에 자극을 주어 반응이 있는지 확인한다.
② 응급의료기관에 연락
- 주변사람에게 119에 전화해 달라고 요청한다.
(이때 혼선으 피하기 위해 한 사람을 지목하여 요청한다.)
③ 순환 확인(Circulation)
- 영아는 목이 짧아 경동맥을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어깨와 팔꿈치 사이의 안쪽에 위치한
상완동맥을 10초 이내에 빠르게 확인한다.
- 맥박이 촉지되지 않으면 즉시 흉부압박을 시행한다.
- 맥박이 촉지되고 호흡만 없으면 인공호흡만 시행한다.
④ 기도 유지(Air way)와 호흡 확인
- 단단하고 평평한 바닥에 반듯하게 눕힌다.(얼굴이 천장 및 하늘을 향하도록 한다.)
- 이마를 뒤로 젖히고 턱을 살짝 들어올려 기도를 유지한다.
- 영아의 어깨 뒤에 수건 등을 받쳐 주면 자연스럽게 기도가 유지된다.
- 호흡 확인은 눈으로 가슴의 움직임을 보고, 귀로 호흡음을 듣고, 뺨으로 호흡음을 느낀다
(동시에 보고, 듣고, 느낀다.)
⑤ 인공호흡(Breathing) : 2회 불어넣기
- 기도 유지를 한 상태에서 입으로 영아의 코와 입을 모두 감싸고 공기를 불어 넣는다
(공기를 불어넣을 때는 어른의 입속에 있는 공기만 불어넣어도 충분하다.)
- 입을 영아의 얼굴에서 잠시 떼어 들어간 공기가 밖으로 배출되도록 한 후 다시 한 번 공기
를 불어 넣는다.
- 인공호흡 시 공기가 잘 들어가는지, 저항감이 있는지 등을 확인한다.
- 이때 눈은 대상 아동 가슴고 복부의 움직임을 관찰한다.
⑥ 흉부 압박
- 양쪽 젖꼭지를 이은 선 중앙에 손가락 3개(2, 3, 4번째 손가락)를 수직으로 나란히 놓는다
- 손가락 3개 중 얼굴 쪽에 가까운 손가락(2번째 손가락)을 위로 들어 올린다.
- 압박하는 위치를 절대로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위치 이동 시 다른 장기 손상 위험)
- 두 손가락(3, 4번째)으로 흉부(가슴)가 1.5~2,5cm 깊이로 들어가게 수를 세면서 압박을
실시한다. 1분에 100회의 속도로 30회 압박하며 도중에 손가락이 몸에서 떨어지거나 중
단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 시행자가 1인일 때는 30회 흉부압박과 2회의 인공호흡을 5주기로 반복하고, 2인일 때는
15회의 흉부압박과 2회의 인공호흡을 5주기 반복한다.
⑦ 재순환 확인(5주기 시행 후)
- 인공호흡 후 스스로 호흡을 하는지, 기침을 하는지, 움직임이 있는지 등을 확인한다.
- 순환반응을 상완동맥에서 확인한다.
⑧ 주의사항
- 영아는 어른과는 달리 우선 심폐소생술을 1분간 실시한 후 도움을 요청한다. 1세 이하의
경우 직접적으로 심장정지가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며 호흡정지가 먼저 발생한 후 산소
부족으로 심장이 정지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 영아는 목이 짧고 굵기 때문에 기도 개방에 유의해야 하며, 입속에 차지하는 혀의 크기가
성인보다 크기 때문에 쉽게 기도폐쇄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영아는 가슴이 작고 장기의 발달 정도가 미숙하여 어른보다 심장박동이 빠르므로 흉부
압박에 특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2) 소아(1세 이상~8세 이하) 심폐소생술(의식이 없는 경우)
① 의식 확인
- 아동에게 자극을 주어 반응이 있는지 확인한다.
- 반응 확인 후 응급의료기관에 연락한다.
- 주변 사람에게 119에 연락해 달라고 요청한다.
- 주변에 아무도 없으면 1분간 심폐소생술을 하고 119에 신고한다.
② 순환 확인(Circulation)
- 대상 아동의 목 중앙(갑상연골 부위)에서 바깥쪽 1~1,5cm 정도 떨어진 부위의 경동맥을
10초 이내에 확인한다.
- 맥박이 촉지되지 않으면 즉시 흉부압박을 시행한다.
- 맥박이 촉지되고 호흡만 없으면 인공호흡만 시행한다.
③ 기도 유지(Air way)와 호흡 확인
- 단단하고 평평한 바닥에 반듯하게(얼굴이 천장이나 하늘을 향하도록) 눕힌다.
- 이마를 뒤로 젖히고 턱을 들어 올린다.
- 눈으로 가슴과 복부의 움직임을 확인하고, 귀로 호흡음을 듣고, 뺨으로 호흡음을 느낀다.
(동시에 보고, 듣고, 느낀다.)
④ 인공호흡(구강 대 구강) : 2회 불어넣기
- 기도 유지를 한 상태에서 엄지와 검지를 사용해 아동의 코를 막는다.
- 아동의 입을 구조자의 입으로 덮고 공기를 불어넣는다.
- 대상 아동의 입에 1초 이상 공기를 천천히 불어넣으며 흉부(가슴)가 상승하는지 확인한다
- 코를 막았던 손을 풀고 입을 잠시 떼어 들어간 공기가 밖으로 배출되도록 한 후 다시 한
번 공기를 불어 넣는다.
- 공기가 원활히 들어가는지, 저항감이 있는지 등을 확인한다.
- 이때 눈은 가슴이 오르내리는지 확인한다.
⑤ 흉부 압박
- 대상 아동 옆에 무릎을 꿇고 앉아서 양쪽 젖꼭지 사이의 중앙 부위에 손목을 갖다 댄다.
- 1분에 100회의 속도로 30회 압박하며 도중에 중단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 처치자의 어깨에서 팔목까지 곧게 편 상태에서 흉부(가슴)가 2.5~3.5cm 정도 들어가도록
압박을 가한다. 아동에 따라 한 손이나 두손을 사용해서 압박하며, 아동의 경우 처치자의
체중을 실어 압박하지 않도록 한다.
- 30회 흉부 압박과 2회의 인공호흡을 반복하면서 5주기를 실시한다
⑥ 재순환 확인(5주기 시행 후)
- 인공 호흡 후 호흡을 하는지, 기침을 하는지, 움직임이 있는지 등을 확인한다.
- 대상 아동의 경동맥에서 10초 안에 순환을 확인한다.
'임신*육아 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아이 열날때, 약먹지 않고, 열내리는 방법 (0) | 2013.06.04 |
---|---|
수족구- 영아 수족구 (0) | 2013.06.02 |
신생아 배앓이 - 영아산통 (0) | 2013.05.23 |
신생아 딸꾹질 멈추는법 (0) | 2013.04.04 |
[육아상식]잘못된 육아상식 (0) | 2013.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