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육아 e

수족구- 영아 수족구

혀짧은 스네이크 2013. 6. 2. 23:24
반응형

 수족구 정의

수족구병은 주로 콕사키 바이러스 A16 또는 엔테로 바이러스 71에 의해 발병하는 질환으로, 여름과 가을철에 흔히 발생하며 입 안의 물집과 궤양, 손과 발의 수포성 발진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입니다

 

 수족구 감염경로

수족구는 100% 예방이 힘든 병으로 공기로 전염되기도 하지만 대부분 감기와 마찬가지로 아이들의 손과 입을 통해서 전염됩니다. 보통 수포의 진물 등이 묻은 손에 의해서 장난감을 통해서 옮기도 하고 다른 아이가 방바닥에 흘린 침을 손에 묻혀 입에 가져가도 걸릴 수 있는 전염성이 매우 높은 질병입니다.

수족구는 물집이 잡히기 이틀 전부터 이미 전염이 되는데 물집이 잡힌 후 일주일 후부터는 전염성이 떨어지지만 수주일간은 전염이 가능하고 일단 전염이 되면 4~6일 정도 지난 후에 수족구병에 걸리게 됩니다.

보통 6개월 ~ 4세 아이들이 잘 걸리지만 아주 드물게 엄마와 아이가 같이 수족구병에 걸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수족구 병에 걸리면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수족구 증상

대개는 가벼운 질환으로 미열이 있거나 열이 없는 경우도 있지만 고열이 동반 될 수도 있습니다. 입 안의 인두는 발적 되고 혀와 볼 점막, 후부인두, 구개, 잇몸과 입술에 수포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발진은 발보다 손에 더 흔하며 3~7mm 크기의 수포성으로 손바닥과 발바닥보다는 손등과 발등에 더 많습니다. 엉덩이와 사타구니에도 발진이 나타날 수 있고, 엉덩이에 생긴 발진은 대개는 수포를 형성하지 않고. 수포는 1주일 정도가 지나면 호전 되지만 수포를 일부러 터트리면 2차 세균 감염이 될 수 있으니 절대로 터트리지 말아야 합니다.

입 속에 나타날 때는 혀나 입천장, 잇몸이나 입술 등에 궤양성 병변으로 통증을 유발하기에

음식을 잘 먹지 못하거나 기운이 없고 탈수증이 나타나 보채거나 침을 흘리면서 잠을 잘 자지 못하기도 합니다

초기 증상이 감기와 비슷해서 증상이 심해질 때까지 모르는 경우도 많으니 주변사람이나 엄마의 세심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수족구 경과

수족구는 보통 7~10일 후 자연적으로 회복되지만 심한 질환을 동반하는 경우 그에 따른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재발률은 극히 낮지만 수족구가 완전히 나은 뒤에도 4~5일 동안은 대변을 통해서 바이러스가

나올 수 있으니 아이가 쓰는 물건은 젖은 타올로 닦은 후 햇빛에 말려주는 게 좋습니다.

 

 수족구 합병증

합병증은 흔하지 않지만 만일 수족구병에 걸린 아이가 열이 3일 이상 가면 주의하여야 합니다. 열이 심하면서 머리를 아파하고 토하거나 목이 뻣뻣해지는 경우는 반드시 소아과 의사에게 문의하거나 밤중이면 응급실로 가는 것이 좋습니다.

 

 수족구 대처방법

수족구병에 걸리면 열이 많이 나는 경우 열성 경련, 입이 아파서 잘 먹지 못하는 경우 탈수, 수족구병의 원인이 바이러스가 같이 일으키는 뇌막염이나 심근염을 주의하여야 합니다.

 

1) 열성경련 주의하기

열이 많이 나는 경우 해열제를 사용하고 심하게 열이 나면 옷을 벗기고 30도 정도의 미지근한 물로 닦아줍니다.

해열제는 열을 떨어뜨리고 입안이 아픈 것을 줄여줄 수 있습니다.

보통 해열제는 타이레놀과 부루펜을 사용하는데, 6개월 이전의 아기나 탈수가 심한 아이는 브루펜을 사용을 자제하는게 좋습니다. 부루펜은 타에레놀보다 해열제의 지속시간이 더 길기 때문에 자주 먹이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 잘 먹이기

아이가 수족구병에 걸렸으면 잘 먹여야 하지만 입안이 헐어 잘 먹지 못하는 경우 단단한 음식보단 부드러운 음식을, 맵고 시고 자극적인 음식보다는 담백한 음식을, 따뜻한 음식보다는 찬 음식을 주는게 좋습니다. 영아는 물이나 우유등 자극적이지 않은 음료를 차게 해서 주시고 좀더 큰 아이는 아이스크림이나 빙수를 만들어 주어도 좋습니다. 찬 것을 먹이면 입안에 얼얼해져 아픈 것도 좀 잊을 수도 있고, 아이스크림은 탈수를 막는 효과와 통증을 줄이는 이중의 효과도 있습니다. 과일 주스를 먹이는 것도 좋은데 신맛이 나는 오렌지 주스나 감귤이나 사과 같은 것도 신 맛의 과일은 피하는게 좋습니다.

 

3) 입 안 통증 줄여주기

우유병을 빨면 입안의 헐은 곳에 부딪혀 아프기도 하고 빨 때 자극을 받아 힘들어 할 수 있으므로 분유나 물은 컵으로 주고나 숟가락으로 주는게 좋습니다.

만일 많이 아파서 잘 먹지 못하는 경우는 타이레놀이나 부루펜을 사용하거나 입안 병변 부위에 제산제를 발라주기도 합니다. 하루 4번 찻숟가락으로 소금을 담아 입에 넣어주면 편해하는 아이들이 있는데 좀 큰 아이의 경우 양치하듯이 뱉어주어도 됩니다.

 

 수족구 예방법

기저귀를 갈고 난 후나 분변으로 오염된 물건을 세척하고 난 후 비누를 사용하여 손을 잘 씻도록 해야 한다.

코와 목의 분비물, , 그리고 물집의 진물 또는 감염된 사람의 대변에 직접 접촉하게 되면 사람 간 전파가

     가능하므로 환자와 접촉한 후 손을 잘 씻게 하고 손을 입에 넣지 못하게 한다.

가족이나 집단 내에 감염자가 있을 경우는 수건을 따로 쓰거나 자주 손을 씻고 물건을 공유하지 않는다.

수족구가 돌 때는 환자 아이와의 신체 접촉을 제한함으로써 감염 위험성을 낮추고 감염의 확산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발병 초기 수일간 집단생활에서 제외시킨다.

아이들이 화장실에서 일을 본 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게 한다.

바닥을 자주 닦고 아이들의 손이 닿는 탁자와 의자 등도 자주 닦아주고 같이 사용하는 장난감은 물로 자주 헹구어

     준다.

아이가 입으로 물었거나 침을 묻힌 장난감을 다른 아이가 가지고 놀지 않게 주의한다.

 

 수족구 병원진료의사에게 진료 받아야 하는 경우

잘 먹지도 못한 아이가 8시간 이상 소변을 보지 않는 경우.

1세 이전의 아가가 8시간 이상 소변을 보지 않거나 1세 이후의 아이가 12시간 이상 소변을 보지 않는 경우.

수족구병에 걸린 아이가 열이 3일 이상 지속되는 경우 열이

심장이 빨리 뛰거나 땀을 많이 흘리는 경우

 

반응형